5-2 과학) 날씨와 우리 생활
* 습도 :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
* 습도 측정하기 : 건습구 습도계로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를 측정하고,
습도표의 세로줄에서 건구 온도를 표시하고
가로줄에서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의 차를 표시하여 만나는 지점을 찾는다.
* 습도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 습도가 높을 때 : 음식물이 부패하기 쉽고, 빨래가 잘 마르지 않음.
- 습도가 낮을 때 : 감기에 걸리거나, 산불이 발생하기 쉬움.

< 건구 온도 15 ℃, 습구 온도 13 ℃일 때 습도 >
2. 이슬과 안개가 만들어지는 과정
* 이슬 : 밤에 차가워진 나뭇가지나 풀잎 표면 등에 수증기가 응결해 물방울로 맺히는 것임.
* 안개 :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해 작은 물방울로 떠 있는 것임.

이슬 발생 실험

안개 발생 실험
* 이슬과 안개는 맑은 날 잘 생성된다.
맑은 날 수증기가 많이 증발되다가 추운 날씨에 지표 부근에서 응결하면서 형성되는 것
안개는 무수히 많은 수증기가 언 형태인 구름이 지표 근처에서 발생하는 것
이슬이나 서리는 풀잎 표면에 응결된 수증기가 맺히는 것
3. 구름, 비,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
1) 구름,비,눈
* 구름 :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해 물방울이 되거나 얼음 알갱이 상태로 변해 하늘에 떠 있는 것
* 비 : 구름 속 작은 물방울이 합쳐지면서 무거워져 떨어지는 것
* 눈 : 구름 속 얼음 알갱이가 무거워져 녹지 않은 채로 떨어지는 것
2) 이슬, 안개, 구름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 수증기가 응결해 나타나는 현상
* 차이점
- 이슬 : 밤에 차가워진 나뭇가지나 풀잎 표면 등에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함./물체 표면에 맺힘.
- 안개 : 밤에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차가워지면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함./지표면 근처에 떠 있음.
- 구름 : 공기가 위로 올라가 차가워지면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하거나 얼음 알갱이로 변함./높은 하늘에 떠 있음.
4. 고기압과 저기압
* 기압 : 공기의 무게로 생기는 누르는 힘입니다.
- 고기압 : 상대적으로 공기가 무거운 것
- 저기압 : 상대적으로 공기가 가벼운 것
* 공기의 온도에 따른 공기의 무게 :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일정한 부피에 공기 알갱이가 더 많아 무겁고 기압이 더 높다.
* 바람 : 기압 차로 공기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는 것

5. 지면과 수면의 하루 동안 온도 변화
* 모래와 물의 온도 변화 : 모래는 물보다 온도 변화가 크다.
- 전등을 켰을 때 : 모래는 빨리 데워지고, 물은 천천히 데워진다.
- 전등을 껐을 때 : 모래는 빨리 식고, 물은 천천히 식는다.
* 지면과 수면의 하루 동안 온도 변화
- 낮 : 지면이 수면보다 빠르게 데워져 지면의 온도가 더 높음.
- 밤 : 지면이 수면보다 빠르게 식어 지면의 온도가 더 낮음.

지면과 수면의 하루 동안 온도 변화
6. 바닷가에서 낮과 밤에 부는 바람 (바람은 추운 곳에서 따뜻한 곳으로 분다.)
* 바람이 부는 방향 관찰하기 :
1) 가열한 모래와 물이 담긴 그릇을 투명한 상자로 덮고 향 연기를 넣는다.
2) 물은 모래보다 천천히 데워져 온도가 더 낮으므로 물 위 공기는 고기압이 되고, 모래 위 공기는 저기압이 되어
향 연기가 물 쪽에서 모래 쪽으로 이동한다.
* 바닷가에서 낮과 밤에 부는 바람 - 낮 : 바다에서 육지로 해풍이 붊.
- 밤 : 육지에서 바다로 육풍이 붊.

낮에 부는 바람 - 해풍

밤에 부는 바람 - 육풍
( 중학연계 )
1. 기단 :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지표와 비슷하게 기온과 습도 등의 성질이 일정해진 큰 공기 덩어리
대륙 위의 공기는 건조하고, 해양 위의 공기는 습하다.
저위도 지역의 공기는 고온이고, 고위도 지역의 공기는 한랭하다.
2. 기단의 발생 장소 : 기단은 주로 넓은 대륙이나 해양에서 발생한다.
→ 넓은 지역에 걸쳐 일정한 성질을 가진 평탄한 지역으로, 바람이 약해야 하기 때문이다.
3. 기단의 성질 : 기단의 성질은 기단이 발생한 발생지의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① 고위도에서 발생한 기단: 기온이 낮다. ② 저위도에서 발생한 기단: 기온이 높다.
③ 대륙에서 발생한 기단: 건조하다. ④ 해양에서 발생한 기단: 습하다.
4. 기단의 변질
기단은 발생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한 지역의 영향으로 기온과 습도가 변하여 기단의 성질이 변한다.

차고 건조한 성질을 가진 기단이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
기온이 높아지고 습해지면서 구름이 생성되어 비나 눈이 내린다.
5.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과 날씨
우리나라는 중위도의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단이 다르고,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하다.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1) 양쯔 강 기단 : ① 성질: 온난 건조 ② 영향을 주는 계절: 봄, 가을
③ 날씨 : • 온난하고 건조한 날씨(봄, 가을) • 황사 현상(봄)
2) 오오츠크 해 기단 : ① 성질: 한랭 다습 ② 영향을 주는 계절: 초여름
③ 날씨 : • 동해안 지역이 서늘하고 습하다. • 농작물의 자람이 부진하고 냉해를 입기도 한다.
3) 북태평양 기단 : ① 성질: 고온 다습 ② 영향을 주는 계절: 여름
③ 날씨 : • 무덥고 습하다. • 폭염, 열대야
4) 시베리아 기단 : ① 성질: 한랭 건조 ② 영향을 주는 계절: 겨울
③ 날씨 : 춥고 건조하다. 한파
5) 적도 기단 : ① 성질: 고온 다습 ② 영향을 주는 계절: 여름과 초가을
③ 날씨 : 태풍
6. 전선과 전선면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나면서 생겨나는 경계면을 전선면이라고 한다.
이때 전선면과 지표면이 만나는 경계선을 전선이라고 한다.
전선을 경계로 기온, 습도, 바람 등 날씨가 달라진다.

전선면과 전선
7. 전선의 종류
1) 한랭 전선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파고들 때 생기는 전선

한랭 전선 기호
2) 온난 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오를 때 생기는 전선

온난 전선 기호
3) 폐색 전선 :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이 만나 겹쳐져서 생긴 전선
→ 이동 속도가 빠른 한랭 전선이 이동 속도가 느린 온난 전선에 접근하여 겹쳐질 때 생긴다.

폐색 전선 기호
4) 정체 전선 :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여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전선 : 장마

장체 전선
8. 고기압과 저기압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을 고기압이라고 하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곳을 저기압이라고 한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주변 기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다.
1) 고기압 :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곳

① 바람: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불어 나간다.
② 중심기류(공기의 연직운동) : 불어 나간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 상공에 있는 공기가 하강하여 하강 기류가 생김
③ 날씨: 구름 소멸 → 날씨가 맑다.
2) 저기압 : 주위보다 기압이 낮다

① 바람: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온다.
② 중심기류(공기의 연직운동) :
주위에서 바람이 불어 들어와 공기가 밀려 중심부의 상공으로 상승하여 상승 기류가 생긴다.
③ 날씨: 구름 생성 → 날씨가 흐리고 비나 눈이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