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1 과학 ) 5. 지구의 모습

3학년과학수능어휘

( 3-1 과학 ) 5. 지구의 모습

초등공부로수능잡기 2022. 10. 21. 00:12
728x90
728x90
SMALL
 
 

1) 지구의 표면

· 우리나라에서는 산, 들, 강, 계곡, 호수, 갯벌, 바다 등의

여러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다.

· 세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사막, 빙하, 화산 등도

지구 표면의 또 다른 모습이다.

2) 육지와 바다의 다른 점

① 육지와 바다의 넓이 비교

· 전체 50칸의 지도에서 육지인 칸 수는 14칸, 바다인 칸 수는 36칸이다.

→ 바다가 육지보다 넓다.

② 육지의 물과 바닷물 맛

- 육지의 물: 밍밍하고, 육지의 물이 바닷물보다 덜 짬. (육지의 물=담수)

- 바닷물: 짜고, 바닷물이 육지의 물보다 짬.

· 육지의 물과 다르게 바닷물에는 짠맛이 나는 소금 등

여러 가지 물질이 많이 녹아 있어서 사람이 마시기에 적당하지 않다.

③ 육지와 바다의 차이점

· 바다는 육지보다 넓다.

· 육지와 바다에 사는 생물이 다르다.

· 바닷물이 육지의 물보다 훨씬 많다.

3) 지구의 공기가 하는 역할

① 생활에서 공기를 느껴 본 경험

선풍기에서 나오는 바람을 느낌.

바람이 얼굴을 스침.

부채질을 하면 시원해짐.

손바람이나 입김 등으로 공기를 느낄 수 있다.

② 공기 느껴 보기

지퍼 백에 공기를 담아 느낄 수 있다.

: 공기가 담긴 지퍼 백 입구를 살짝 열어서

손이나 얼굴에 가져다 대고 지퍼 백을 누르면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지퍼 백을 손으로 누르면 살짝 들어가고,

말랑말랑한 느낌이 든다.

③ 지구 주위를 둘러싼 공기의 역할과 이용

-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 공기가 있어서 생물이 숨을 쉬고 살 수 있다.

· 사람들은 공기를 이용하여 연날리기를 하거나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타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④ 지구에 공기가 없다면 일어날 수 있는 일

· 바람이 불지 않을 것이다. (공기의 흐름, 움직임=바람)

· 구름이 없고 비가 오지 않을 것이다.

(공기가 있어야 수증기가 움직일 수 있다. 공기가 없으면 수증기가 순환될 수 없다.)

· 생물이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4) 지구의 모양

: 둥근 공 모양

· 지구에 사는 우리에게 지구가 편평하게 보이는 까닭은

사람의 크기에 비해 지구가 매우 크기 때문

·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둥근 지구의 모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 달의 모습

① 달의 여러 가지 모습

* 전체적인 모양: 둥근 공 모양

* 표면

- 땅의 모습: 표면에 돌이 있음,

표면에 움푹 파인 구덩이가 많음,

매끈매끈한 면도 있고 울퉁불통한 면도 있음.

- 색깔: 색깔이 회색빛임,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있음.

② 달의 특징

· 달의 표면에서 어둡게 보이는 곳을 ‘달의 바다’라고

하지만 이곳에는 물이 없다.

· 달 표면에 있는 크고 작은 구덩이는 우주 공간을 떠돌던

돌덩이가 달 표면에 충돌하여 만들어졌다.

3) 지구와 달의 공통 점과 다른 점

① 지구와 달의 공통점

· 모두 둥근 공 모양입니다.

· 표면에 돌이 있습니다.

② 지구와 달의 다른점

- 지구: 지구의 바다에는 물이 있고, 생물이 있음,

지구의 하늘에는 구름이 있고, 새가 날아다님,

공기가 있어 파란 하늘을 볼 수 있음,

사람과 동식물이 숨을 쉬고 살아갈 수 있음.

- 달: 달의 바다에는 물이 없고, 생물이 없음,

달의 하늘에는 구름이 없고, 새가 날아다니지 않음,

공기가 없어 하늘이 검게 보임,

달 표면에는 크고 작은 충돌 구덩이가 많이 있음.

· 지구가 달보다 4배 정도 더 큼.

③ 지구에 생물이 살 수 있는 까닭

· 지구에는 달과 다르게 물과 공기가 있어서 생물이 살 수 있다.

· 지구는 생물이 살기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 중학연계 )

달의 공전

달은 한 달(30일)을 주기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태양 빛을 반사하는 부분이 달라져

우리 눈에는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보인다.

초승달은 음력 2~3일경에 뜨는 눈썹 모양의 달로,

아침에 떠서 저녁이 되면 서쪽 하늘에서 보이다가 지게 된다.

달은 지구의 위성으로,

지구의 중력이 작용하여

달이 지구 주위를 약 한 달에 한 바퀴씩 도는 것을

달의 공전이라고 한다.

 

달의 공전으로 달의 모양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같은 모양의 달을 보려면 공전하여 제자리로 돌아와야 한다.

그런데 달이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려면 지구가 공전하여 움직인 시간 만큼

달이 더 공전해야 한다.

지구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달의 공전 시간이 27.3일이지만,

실제로 보름달에서 다시 보름달이 되는 주기는 29.5일로 2.2일이 차이가 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https://blog.naver.com/belleempress/222800841801

728x90
LIST

'3학년과학수능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3-2 물질의 특성)  (2) 2022.12.17
3-2 과학 (2) 지표의 변화  (0) 2022.10.21
자기 부상 열차  (0) 2022.10.12
( 3-1 과학 ) 5. 지구의 모습  (0) 2022.10.09
( 3-2 과학 ) 1. 동물의 생활  (2)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