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3학년사회수능어휘' 카테고리의 글 목록
728x90
SMALL

3학년사회수능어휘 8

(3-2 사회) 3. 가족의 형태와 역할 변화

1. 옛날과 오늘날의 결혼식 모습 비교 옛날의 결혼식 오늘날의 결혼식 - 결혼식을 하는 장소 : 신부의 집 - 결혼식 때 입는 옷 : 한복 ( 신랑:사모관대 + 신부:활옷, 족두리 ) - 결혼식 방법 : 신랑 신부가 마주 보고 큰절을 올리고, 표주박을 쪼개 만든 잔에 술을 부어 함께 나누어 마심. - 주고받는 것 : 나무 기러기 - 결혼식 후에 하는 일 :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마친 후 신부 집에서 며칠을 보낸 후에 신랑 집으로 감 - 그 밖의 것 : 신랑의 집에서 신랑의 부모님께 폐백을 드림. - 결혼식을 하는 장소 : 결혼식장 - 결혼식 때 입는 옷 : 턱시도(신랑), 웨딩드레스(신부) - 주고받는 것 : 결혼반지 - 결혼식 후에 하는 일 : 신혼여행을 감. - 그 밖의 것 : 결혼식장의 폐백실에서 ..

3-2 사회 ) 옛날과 오늘날의 세시풍속

세시풍속歲時風俗 :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경사회의 풍속이며 해마다 농사력에 맞추어 관례로서 행하여지는 전승적(=의례적) 행사 1월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 새해 첫 둥근 보름달이 뜨는 날 - 쥐불놀이, 달집태우기를 하면서 나쁜 기운을 쫓아내고, 새해 소원을 빌었음. : 오늘날처럼 화학비료가 발달되지 않았던 옛날에는 농사를 짓기 전 쥐불놀이, 달집태우기를 해서 밭을 태우고 난 후, 재가 논과 밭을 미리 기름지게 만든 역할을 함 - 풍년을 기원하며 오곡밥, 귀밝이술을 먹고, 건강을 빌며 부럼을 깨물었음. : 부럼은 호두, 땅콩 등의 견과류를 말한다. 부럼을 나이 수만큼 깨물면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단단해진다고 믿었다. 물다 자칫 이를 다칠 수 있어서 부드러운 땅콩이나 밤을 많이 이용했다네요. : 귀밝..

( 3-2 사회 ) 2.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시대에 따른 도구 사용 ​ 시대의 분류 기준 : 도구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구석기:뗀석기 / 신석기:간석기 / 청동기:청동 / 철기 : 철기 ​ 도구에 따른 생활 모습 구석기는 돌을 깨뜨려 사용하는 석기인 뗀석기를 사용하였고 신석기는 뗀석리를 갈아서 사용하는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 구석기는 농사의 방법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사냥, 채집 등을 사며 살았다. 이에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이 아닌 여러 곳을 떠돌며 사는 이동생활을 하였다. 한 곳의 사냥과 채집 식량이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생활에 용이한 막집과 동굴에서 거주하며, 불을 사용하였다. ​ 구석기의 뗀석기 가운데 사냥도구는 찍개, 찌르개가 있고, 조리 도구는 짐승을 뼈와 살을 긁어내는 긁개와 질..

(3-2사회) 2) 환경에 따른 의식주 생활 모습

1) 의식주 : 사람이 살아가는 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입을 옷과 먹을 음식, 자거나 쉴 수 있는 집 2) 의식주의 필요성 * 옷 (의) : 덥거나 추운 날씨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음.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낼 수 있음. * 음식 (식) : 음식을 먹지 않으면 움직일 힘이 없음. 음식을 먹어야 체력을 유지할 수 있음. * 집 (주) : 잠을 자고 쉬기 위해서임. 더위와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임. 무서운 동물들을 피하기 위해서임. ​ 3) 옛날과 오늘날의 의식주 도포:옛날 남자들이 입던 겉옷 장옷:옛날 여자들이 나들이할 때에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에서부터 길게 내려 쓰던 옷 ​ 여름철 한복 : 삼과 모시라는 식물의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옷감 사용하여 바람이 잘 통하여 여름을 시..

( 3-1 사회 ) 2.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 - 2)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

*반드시 알아야 할 역사적, 문화적 내용이 들어있어요 ^^ ​ 1. 문화유산 : 우리 조상 대대로 내려온 문화 중에서 다음 세대에 물려줄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적 전통을 말한다. ​ ​ 2. 문화유산의 분류 : 유형 문화유산 : 일정한 형태가 있는 문화유산 : 건축물, 공예품, 책, 도자기 등 : 만질 수 있는 것 무형 문화유산 :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 : 예술 활동, 기술 등 : 만질 수 없는 것 : 탈춤, 판소리 등 ​ ​ 3. 우리나라 돈에 그려져 있는 문화유산 ​ 4. 형태가 있는 문화유산 - 경주 동궁과 월지 : 신라의 왕자가 머물던 곳으로 나라의 기쁜일이 있을 때, 이곳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 성덕 대왕 신종 : 신라에서 만든 범종으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큰 범종 ​ ​ 5. ..

( 3-1 사회 ) 2.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1. 과거의 교통 수단 (1) 땅 위에서 이용한 이동수단 : 말, 가마, 인력거, 소달구지, 지게 ​(2) 물 위에서 이용한 이동 수단 : 뗏목(통나무 여러 개를 이어 붙인 배, 사람이 노를 저어서 감), : 돛단배(바람의 힘을 이용해서 움직이는 배) ​(3) 옛날 이동 수단의 불편한 점 : 힘이 많이 들었다. 시간이 많이 걸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음. 많은 물건을 한 번에 옮기기 어려웠음 (4) 옛날 사람들이 이용한 이동 수단의 공통점 : 사람이나 가축의 힘을 이용함 나무와 식물의 줄기 등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 (5) 옛날 이동 수단의 장점 : 환경오염이 없었다. ​ 2. 기계의 힘을 이용한 초기 이동 수단 (1) 하늘의 초기 이동 수단 - 열기구 : 커다란 풍선처럼 생긴 주..

( 3-1 사회 ) 3.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1. 옛날의 의사소통 수단 * 봉수: 높은 산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을 이용하여 나라의 급한 일을 전하였다. 가장 빠른 의사소통 수단으로 연기를 피워 임금에게 12시간 안에 소식을 전하도록 했다. 그러나 적이 나타났을 때의 적의 수나 장비, 이동 방향 등의 자세한 소식은 전할 수 없었다. 또한 구름이나 안개가 짙게 낀 경우는 연락을 전할 수 없었다. ​ ​ * 신호 연: 무늬와 색깔이 다른 연을 이용하여 약속된 신호를 보냈다. 전투를 할 때 암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직접 생각해 낸 것이라 '충무연'이라고도 부른다. ​ * 파발: 파발꾼이 말을 타고 가거나 직접 걸어가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담은 문서를 전하였다. * 기발과 보발 조선시대의 임진왜란이..

( 3-2 사회 )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 중학연계 : 고원 : 매우 중요

1. 자연 환경과 인문 환경 1) 자연 환경 : 산, 들, 하천, 바다와 같은 땅의 생김새와 날씨에 영향을 주는 눈, 비, 바람, 기온, 우박 등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말합니다. 2) 인문 환경 : 논과 밭, 과수원, 다리, 도로, 공장 등 사람들이 만든 환경 3) 자연 환경을 이용한 인문 환경 (자연 환경) (인문 환경) 들 = 논, 밭, 공장지대, 주택지대, 도로, 공항, 철도 등 산 = 산림욕, 휴양지, 스키장, 광산, 산장 등 바다 = 해수욕장, 양식장, 선착장 등 강, 하천 = 댐, 저수지, 공원 등 ​ 2.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 환경 1) 티베트의 고원 지형 ① 티베트의 고원: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넓은 벌판 ② 사람들의 생활 모습 - 목장에서 염소나 야크 등의 가축을 기르며 생활 -..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