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1 사회 ) 2.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3학년사회수능어휘

( 3-1 사회 ) 2.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초등공부로수능잡기 2022. 10. 12. 00:21
728x90
728x90
SMALL
 
 

1. 과거의 교통 수단

(1) 땅 위에서 이용한 이동수단 : 말, 가마, 인력거, 소달구지, 지게

(2) 물 위에서 이용한 이동 수단 : 뗏목(통나무 여러 개를 이어 붙인 배, 사람이 노를 저어서 감),

                                                 : 돛단배(바람의 힘을 이용해서 움직이는 배)

(3) 옛날 이동 수단의 불편한 점 :  힘이 많이 들었다.                                                                                                                                                                    시간이 많이 걸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음.                                                                                                                                                          많은 물건을 한 번에 옮기기 어려웠음

(4) 옛날 사람들이 이용한 이동 수단의 공통점 :  사람이나 가축의 힘을 이용함                                                                                                                                                   나무와 식물의 줄기 등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5) 옛날 이동 수단의 장점 : 환경오염이 없었다.

 

 

2. 기계의 힘을 이용한 초기 이동 수단

 

(1) 하늘의 초기 이동 수단 - 열기구 : 커다란 풍선처럼 생긴 주머니 속의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서 공중으로 떠오르게 함                                                 ( 참고 :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고체의 열의 이동은 전도, 액체와 기체의 열의 이동은 대류라 합니다. 특히 대류는 공기의 흐름을 뜻하며,                            뜨거운 수증기가 위로 올라가듯이 뜨거운 액체나 기체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액체나 기체는 밑으로 내려오는                  현상을 대류라고 합니다. 

(2) 땅의 초기 이동 수단 - 증기 기관차 : 석탄을 태워서 물을 끓이고,  그 때 나오는 수증기의 힘으로 기차 바퀴를 움직였다                                        - 증기 자동차 : 최초의 자동차로 석탄을 태워서  물을 끟일 때, 나오는 수증기의 힘으로 달렸다.      

 * 증기 기관을 이용한 이동 수단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물과 석탄을 싣고 다녀야 하는 무게로 속도가 느려서         * 석탄을 때울 때, 나오는 석탄가루, 매연으로 공기가 오염되기 때문

(3) 물 위의 초기 이동수단 - 증기선 : 바람이 불지 않아도 수증기를 이용한 기계의 힘으로 움직였다.

(중학연계)

 

지구온난화 현상 : 화석연료를 사용함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이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이 주 원인이 됨.                               특히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 지구의 평균기온이 높아진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바다에 흡수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바다의 기온이 높아지면                                                         빙하가 녹아 해수면의 높이가 상승한다. 그렇게 되면, 많은 섬 나라들이 침수하게 되며,                                                         북극곰과 물개 등이 서식지를 잃게 된다.                                                                                                                                 또한 산호가 석회화 되면서 물고기들의 산란장, 서식지가 사라지게 된다.

빙하코어 : 빙하코어는 빙하의 한 가운데에 막대를 빙하의 한 가운데에 원통형 파이프를 박는다.                                                            후에 빙하 코어를 꺼내어 빙하를 연구한다. 이는 여름에 조금 녹았던 눈이 겨울에 다시 얼면서                                              빙하에 줄무늬가 생기기 때문이다.

 

빙하 코어를 통해 많은 것들을 연구할 수 있다.                                                                                                                       빙하 속 포함된 화산재를 분석하면 화산 활동이 일어났던 시기를 알 수 있으며,                                                                   빙하 속 포함된 꽃가루를 분석하면 당시 번성했던 식물도 알 수 있다.                                                                                     또한 빙하 속 공기 방울로 빙하의 생성 당시 대기 성분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연구한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기본 변화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 빙하 코어를 연구하여 알아낸 과거 약 42만 년 동안의 이산화 탄소 농도와 기온 변화

: 이산화 탄소 농도가 높은 시기에는 기온이 높고, 이산화 탄소 농도가 낮은 시기에는 기온이 낮다.

 

• 기온은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였다. 적어도 4번 이상의 빙하기가 있었다.

3. 이동 수단의 발달 모습

1) 도로 교통수단 : 가마 → 인력거 → 증기 자동차 → 디젤 자동차 → 전기 자동차

2) 철로 교통수단 : 증기 기관차 → 디젤 기관차 → 전기 기관차 → 자기 부상 열차                                                                                                     (석탄)               (석유)                (전기)            (자기력)

3) 해상 교통수단 : 뗏목 → 돛단배 → 증기선→ 쾌속선

4) 항공 교통수단 : 열기구 → 프로펠러 비행기 → 비행기 → 우주 왕복선

​​

특별한 이동 수단의 종류

* 지프 택시 : 울릉도는 산이 가파르고 겨울에 눈이 많이 오기 때문에 일반 택시가 다니기 어려워 지프 택시를 이용

* 널배 : 갯벌이 있는 지역에서는 조개나 낙지를 잡아 운반하거나 이동할 때 널빤지로 만든 널배를 이용

* 수상 택시 : 큰 도시에서는 강을 따라서 이동하는 수상 택시를 이용

* 케이블카 : 산이 있는 지역에서는 높은 곳까지 쉽고 빠르게 이동하려고 케이블카를 이용

* 리프트 : 스키장 등에서는 산 정상까지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를 이용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