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2 사회 )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 중학연계 : 고원 : 매우 중요

3학년사회수능어휘

( 3-2 사회 )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 중학연계 : 고원 : 매우 중요

초등공부로수능잡기 2022. 10. 8. 00:44
728x90
728x90
SMALL

1. 자연 환경과 인문 환경

 
1) 자연 환경 : 산, 들, 하천, 바다와 같은 땅의 생김새와 날씨에 영향을 주는
                      눈, 비, 바람, 기온, 우박 등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말합니다.

2) 인문 환경 : 논과 밭, 과수원, 다리, 도로, 공장 등 사람들이 만든 환경

3) 자연 환경을 이용한 인문 환경

(자연 환경)                      (인문 환경)

      들             =           논, 밭, 공장지대, 주택지대, 도로, 공항, 철도 등 

      산             =           산림욕, 휴양지, 스키장, 광산, 산장 등

      바다         =           해수욕장, 양식장, 선착장 등

     강, 하천    =           댐, 저수지, 공원 등

 

2.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 환경

 

1)  티베트의 고원 지형

① 티베트의 고원: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넓은 벌판

② 사람들의 생활 모습

- 목장에서 염소나 야크 등의 가축을 기르며 생활

- 골짜기에서는 농작물을 재배

2)  미국의 대평원 지형에 사는 사람들

① 미국의 대평원 : 평야가 넓어 농업과 목축업을 하기에 좋다.

② 사람들의 생활 모습 : 땅이 매우 넓기 때문에 대형 농업 기계나 비행기를 이용하여 대규모의 농사를 짓는다.

3)   분지 지형의 이용 모습

① 분지 :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인 평지

② 이용 모습 : 지방의 중심 도시가 형성된 곳이 많다.

* 우리나라 대표적 분지 : 대구(산으로 둘러싸인 내륙 지역이기 때문에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

                                                                   (중학연계)

* 고원지형은 중1 지형 부분에도 나오고, 고등학교 때도 계속 나와요. 매우 중요합니다.

1) 고원(高原 ) : 고도가 높은 곳(산)에 넓게 나타나는 평지 또는 기복이 크지 않은 산지.

* 고위평탄면(대관령 삼양목장 ) :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원 (고위평탄면은 산지 지형의 하나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평원)

​* 고원의 형성 원인은 다양한데, 대부분은 지반의 융기(융기 : 땅이 솟아 오르는 것 : 반대말 : 침강 : 땅이 주변보다 낮아지는 것 )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생기는 경우가 많고, 용암 분출 등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고원도 있다.

​*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고원들은 주로 신기조산대(새롭게 만들어진 산 = 신기 : 막 만들어져서 경사가 급하고, 험하며, 지진과 화산이 많다)에 인접한 곳이 조산운동(조산운동=산이 만들어지는 운동)의 영향으로 솟아오른 융기의 과정을 겪어 형성된다.

2) 세계 여러 고원

 

* 아시아 대륙 히말라야 산지 부근의 티베트고원과 파미르고원

* 북아메리카 로키산맥 부근의 콜로라도고원

* 브라질고원, 오스트레일리아 서부고원, 인도의 데칸고원 등이 있다.

* 참고) 사바나기후 : 중요해요

열대기후는 열대우림기후와 열대사바나 기후로 나눠져요.

열대우림기후는 덥고, 비가 많이 오는 밀림지역의 기후고 갑작스런 소나기(스콜)이 자주 발생됩니다.

열대사바나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뚜렸하고, 넓은 초원이 발달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사바나 지역의 초원지대는 야생동물들의 주요 서식지로 사용된다.

3) 우리나라의 고원

 

우리나라의 경우, 강원도 대관령을 포함한 태백산맥의 서쪽 일대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경계부에 위치한 진안고원이 있다.

특히 대관령 일대는 높이 900m 이상의 남한 최대의 고원으로 신생대 이전 오랜 침식으로 평탄해졌던 지형이

다시 융기하면서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었고, 이러한 지형을 일컬어 '고위평탄면'이라 부르기도 한다.

북한 지역의 경우 백두고원, 백무고원, 개마고원, 풍산고원, 낭림고원 등 고원지역이 특히 더 발달했는데,

백두고원과 개마고원의 일부는 용암 분출로 생긴 '용암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개마고원은 평균 고도 1,300m가 넘는 우리나라 최대, 최고(最高)의 고원으로 한반도의 지붕이라 불린다.

고원은 다른 산지 지형에 비해 지형이 평평하여 상대적으로 인간 생활에 유리하고, 농업이나 목축 등 산업 활동 공간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저지대에 비해 기온이 낮고, 바람이 강한 기후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경관과 문화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대관령의 고위평탄면 = 목축업, 스키장, 배추나 무 : 고랭지농업 : 높고, 추운 지역의 농업)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