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국어문법, 문학 및 비문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728x90
SMALL

국어문법, 문학 및 비문학 5

구비문학과 기록문학

문학은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으로 나누어집니다. 문학은 시, 소설, 수필(경험을 적은 글), 희극(연극대본)에 해당됩니다. 시, 소설, 수필, 희극은 기록 문학에 해당되고, ​ 구비문학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문학으로 설화라 불리는 민담(콩쥐팥쥐,신데렐라), 전설(며느리바위의 전설), 신화(건국신화:단군)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기록문학은 말 그대로 기록으로 전해지는 문학을 의미합니다. ​ 민담은 세계적 범위의 이야기이고, 보통 권선징악과 행복한 결말로 끝이 납니다. 권선징악 : 콩쥐는 원님과 결혼하고, 팥쥐는 벌을 받습니다. 행복한 결말 : 신데렐라는 왕자님과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 ​ 전설은 구체적인 증거물을 들어 만든 이야기로 욕심 많은 부잣집에 내려진 벌을 면죄받은 며느리가 뒤를 돌아보지 말고, ..

겹받침 익히기 - 연음현상

겹받침 익히기 - 연음현상(받침자음+모음 : 자음이 모음으로 소리)으로 이해하기 (닮은 = 달믄) ​ 겹받침은 체언과 용언 어간의 받침에 서로 다른 자음 두 개가 연속되는 표기법을 말합니다. 체언(주어, 목적어로 사용되는 명사, 대명사, 수사)에 사용되는 겹받침은 'ㄳ, ㄺ, ㄻ, ㄼ, ㄽ, ㅄ' 6개이며, 용언(형용사, 동사)에 사용되는 어간 받침의 겹받침은 'ㄵ, ㄶ, ㄺ, ㄻ, ㄼ, ㄾ, ㄿ, ㅀ, ㅄ' 9개입니다. * 참고 * 용언의 활용 : 용언(형용사, 동사)는 단어의 가장 끝인 어미가 여러 형태로 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됩니다. 먹(어간) + 다(어미) - 먹지, 먹거든, 먹었니? 먹었다. 먹겠다. 먹을 것이다. 등 어간은 말의 뜻을 결정 짓는 가장 중요한 단어로 변화하지 않는 용언의 중..

국어문법 - 2) 모음을 만든 원리 : 중2국어, 고등국어문법에도 나와요 ^^

모음의 기본자는 'ㆍ, ㅡ, ㅣ'를 기본자로 만들고, 이 기본자에 획을 추가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세종은 처음에 모음을 'ㆍ,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로 모두 11자를 만들었습니다. 먼저 'ㆍ, ㅡ, ㅣ'를 모음의 기본자로 만들었습니다. 기본자를 만는 원리는 '상형'의 원리입니다. ‘ㆍ’는 ‘하늘[天]’, ‘ㅡ’는 ‘땅[地]’, ‘ㅣ’는 ‘사람[人]’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습니다. 하늘은 둥글다 생각해서 둥근 모양을 따서 ‘ㆍ’(아래 아) 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땅의 평평한 모습을 본따서 ‘ㅡ’자를, 마지막으로 사람의 서 있는 모습을 본따 ‘ㅣ’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ㆍ’(아래 아)는 현재 사용되지 않습니다. ‘ㆍ’는 ‘ㅏ’와 ‘ㅗ’의 중간 소리로 추정이 되는데, 18..

국어문법 - 2) 모음을 만든 원리 : 중2국어, 고등국어문법에도 나와요 ^^

모음의 기본자는 'ㆍ, ㅡ, ㅣ'를 기본자로 만들고, 이 기본자에 획을 추가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세종은 처음에 모음을 'ㆍ,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로 모두 11자를 만들었습니다. 먼저 'ㆍ, ㅡ, ㅣ'를 모음의 기본자로 만들었습니다. 기본자를 만는 원리는 '상형'의 원리입니다. ‘ㆍ’는 ‘하늘[天]’, ‘ㅡ’는 ‘땅[地]’, ‘ㅣ’는 ‘사람[人]’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습니다. 하늘은 둥글다 생각해서 둥근 모양을 따서 ‘ㆍ’(아래 아) 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땅의 평평한 모습을 본따서 ‘ㅡ’자를, 마지막으로 사람의 서 있는 모습을 본따 ‘ㅣ’자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ㆍ’(아래 아)는 현재 사용되지 않습니다. ‘ㆍ’는 ‘ㅏ’와 ‘ㅗ’의 중간 소리로 추정이 되는데, 18..

국어문법 - 1) 자음을 만든 원리 : 중2국어, 고등국어문법에도 나와요 ^^

세종대왕은 17개의 자음자와 11개의 모음자를 만들었어요. 자음과 모음을 만드는 기본 원리는 '상형'의 원리입니다. 먼저 세종은 'ㄱ, ㄴ, ㅁ, ㅅ, ㅇ'을 '한글을 만드는 데 기본이 되는 글자'인 '기본자'로 만들었습니다. 'ㄱ, ㄴ, ㅁ, ㅅ, ㅇ'은 사물의 모양을 본 뜬 '상형의 원리'로 만들어졌는데, 기본자들의 상형이 된 것은 '발음 기관의 모양'입니다. ​ 다음의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 ‘ㄱ‘은 혀의 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형상으로 어금니 옆에서 소리가 난다고 하여 '어금니소리'라고도 합니다. '그'를 발음해보면, 혀가 뒤로 구부러지면서 목구멍을 막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중학교 2학년 국어로 다루어지는 데, 교과서의 참고서마다 '혀뿌리소리'로 표기가 되어..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