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1 사회 ) 3.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3학년사회수능어휘

( 3-1 사회 ) 3.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초등공부로수능잡기 2022. 10. 8. 23:36
728x90
728x90
SMALL

1. 옛날의 의사소통 수단

* 봉수: 높은 산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을 이용하여 나라의 급한 일을 전하였다.                                            가장 빠른 의사소통 수단으로 연기를 피워 임금에게 12시간 안에 소식을 전하도록 했다.                                                        그러나 적이 나타났을 때의 적의 수나 장비, 이동 방향 등의 자세한 소식은 전할 수 없었다.                                                    또한 구름이나 안개가 짙게 낀 경우는 연락을 전할 수 없었다.

* 신호 연: 무늬와 색깔이 다른 연을 이용하여 약속된 신호를 보냈다.                                                                                                      전투를 할 때 암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직접 생각해 낸 것이라 '충무연'이라고도 부른다.

* 파발: 파발꾼이 말을 타고 가거나 직접 걸어가서 나라의 중요한 일을 담은 문서를 전하였다.

* 기발과 보발

조선시대의 임진왜란이 끝날 무렵 파발이 생겼다. 파발은 나라의 중요한 일을 문서로 적어 병사를 시켜 전달하는 것으로  파발에는 말을 타고 전하는 '기발'과 직접 걸어가서 전하는 '보발'이 있었다. 

일정한 거리마다 '참'을 두어 다른 사람과 교대해 갈 수 있게 하였고, 기발이 다니는 곳에는 25리(약10키로미터)마다 '참'을 두어 말을 갈아탈 수 있도록 했다. 

보발이 다니는 곳에는 30리(약 12km)마다 '참'이 있었다.('한참을 기다렸다.'의 '참' 역시 여기서 유래되었다.)

참에서는 말을 준비하거나 먹을 것과 잠자리를 마련해주기도 했으며, 병사는 참에서 다른 병사와 교대했다.

이는 조선 시대 말에 전화가 들어오면서 점차 사라졌다.

파발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고, 문서로 소식을 전했기 때문에 비밀 유지가 쉽고, 자세하고, 쉽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봉수보다 전달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2. 오늘날의 의사소통 수단

* 유선 전화: 전화선으로 연결된 사람들과 통화를 함.

* 휴대 전화: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하고 문자, 그림, 정보도 주고받음.

* 우편: 우체국을 통하여 편지 등을 전달함.

* 전자 우편: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음.

* 팩시밀리: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과 그림, 문자 등을 주고받음.

* 화상회의 및 화상수업 : 멀리 떨어진 곳의 사람들과 회의, 수업이 가능함

​3.  오늘날 사람들이 이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의 공통점

* 기계의 힘을 이용한다.

* 전기를 이용한 신호를 이용한다.

4.  오늘날의 의사소통 수단이 옛날과 달라진 점

* 편리하게 연락할 수 있다.

* 먼 곳에 사는 사람에게 연락할 수 있다.

*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다.

* 시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물건을 살 수 있다.

* 회사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일을 할 수 있다

​5.  사람들이 생활하는 장소에 따른 통신수단

1) 물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 : 스쿠버 다이빙 수신호 (물속에서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손으로 대화를 함)

2) 농촌의 주택 : 집이 모여있지 않고, 사람들이 농사를 지으러 다니기 때문에 마을 방송으로 연락을 함

3) 아파트 : 인터폰을 통한 연락

4) 경찰관 : 무전기

5) 할인점 직원 : 무선 마이크

6) 택시기사 : 휴대전화로 손냄의 부름을 받음

7) 선생님 : 컴퓨터 메신저로 공지사항을 알림

​6.  오늘날 의사소통 수단의 문제점

1) 공공장소에서의 휴대전화 사용

2) 개인정보유출

3) 게임중독

4) 통신요금 증가의 문제

5) 인터넷 예절 부족의 문제

* 인터넷 예절 = 네티켓 = 상대방이 보이지 않는다고 함부로 행동해서는 안 되고,                                                                                                           바른 말을 사용하며, 거짓 정보를 올리지 않아야 한다.

( 중학연계 )

디지털 형식과 아날로그 형식

 

음악, 영화, 게임, 사진, 동영상,  친구와의 대화까지 우리는 평소 수많은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하고 사용한다.

디지털의 어원인 ‘디지트’는 ‘손가락’, ‘발가락’, 또는 ‘손가락으로 수를 세는 것’을 뜻하는 라틴어이다.

여기에서 ‘어떤 정보를 셀 수 있는 수의 형태로 바꿔처리하는 방법’이라는 디지털의 뜻이 나왔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은 음악과 그림 등의 정보를 1과 0으로만 이뤄진 숫자로 바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고 처리하였다.

긴 메일을 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너를 사랑한다.'

여기서 나=1 너=2 ~하다=3 나는 너를 사랑한다의 긴 문장 대신

123 이런 식으로 기호화하여 많은 정보를 축약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디지털의 반댓말은 ‘아날로그’이다.

이 둘의 차이는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를 생각하면 쉽다.

디지털 시계는 시간을 정확히 떨어지는 숫자로 표시한다

31분, 32분, 이렇게 구분해 표시한다.

반면 아날로그 시계는 바늘이 있어 시간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아날로그 시계의 바늘은 31분과 32분 사이에 있을 수 있다

* 디지털 형식에 대한 내용은 중고등 비문학으로도 잘 다루어집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