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분류 기준 : 도구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구석기:뗀석기 / 신석기:간석기 / 청동기:청동 / 철기 : 철기
도구에 따른 생활 모습

구석기는 돌을 깨뜨려 사용하는 석기인 뗀석기를 사용하였고
신석기는 뗀석리를 갈아서 사용하는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구석기는 농사의 방법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사냥, 채집 등을 사며 살았다.
이에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이 아닌 여러 곳을 떠돌며 사는 이동생활을 하였다.
한 곳의 사냥과 채집 식량이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생활에 용이한 막집과 동굴에서 거주하며, 불을 사용하였다.
구석기의 뗀석기 가운데 사냥도구는 찍개, 찌르개가 있고, 조리 도구는 짐승을 뼈와 살을 긁어내는 긁개와 질긴 살을 미는 밀개를 사용하였다.
신석기는 농사를 시작함으로 강가에서 정착 생활을 할 수 있었고, 이에 움집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또한 농사 도구로 추수 때 사용되는 반달돌칼이 사용되었고, 뗀석기를 갈아서 사용하는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농사를 짓고, 남은 생산물은 저장하기 위해 빗살무늬 토기를 사용하였고, 농사로 인하여 식량이 많아지자 사냥한 짐승을 사육하기도 하였다. 뼈바늘과 그물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고, 실을 감아 놓는 가락바퀴도 사용하였다.
구석기와 신석기는 평등사회로 계급간의 차별이 없었다.
신석기는 씨족중심의 공동체로 농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족 공동체였다.
그러나 신석기 후반 농업의 발달과 청동 무기의 사용으로 계급이 형성되었고, 군장이라 불리는 계급층이 형성되었다. 그들은 제사장이라는 특권 의식으로 청동 무기와 청동 제사용품을 사용하여 백성들을 다스리기 시작하였고, 그들의 무덤은 고인돌로 세워져 숭배되었다. 청동기는 지배층의 무기와 제사 의식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농사 도구로 사용되지 않았으며, 이 시기 활발한 정복 활동은 청동 후기 철기가 전파되면서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청동기 국가는 고조선이고, 고조선의 준왕 시절에 철기가 도입되었고, 이후 철기로 여러 국가간의 정복 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삼국시대가 형성되었다.
철기 시대 때는 쇠스랑, 낫과 같은 농기구를 가지고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고, 우경(소를 사용한 경작)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를 신라 지증왕 때로 보는 경우가 다수의 의견이다. 또한 철기 농기구와 우경의 사용으로 농업의 생산량은 비약적으로 발달되었고,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 간의 활발한 정복 활동 역시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이다.

농경문 청동기 : 토기에 수확물을 담는 모습, 도구를 이용해 땅을 파는 모습등이 기록되어져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3학년사회수능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사회) 3. 가족의 형태와 역할 변화 (2) | 2022.12.15 |
---|---|
3-2 사회 ) 옛날과 오늘날의 세시풍속 (3) | 2022.11.24 |
(3-2사회) 2) 환경에 따른 의식주 생활 모습 (0) | 2022.10.22 |
( 3-1 사회 ) 2.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 - 2)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 (0) | 2022.10.21 |
( 3-1 사회 ) 2. 교통과 통신 수단의 변화 (0) | 2022.10.12 |